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59

소아 야생토끼병? 난생 처음듣는 질환이지만 조심해야해요. 소아 야생토끼병(Tularemia) 야생토끼병이란 무엇일까요? 살면서 처음듣는 분들이 더 많으실겁니다. 야생토끼병이란 그람 음성 짧은 막대균(cocobacillus인 Francisella tularensis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수 공통 전염병입니다. 감염원은 흔히 토끼, 쥐, 다람쥐, 진드기, 사슴, 파리, 이, 벼룩 등이라 합니다. 말그대로 야생에서 자란 동물일 경우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집에서 키우는 동물인 경우에는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지 않을것 같습니다. 야생토끼병은 이런 감염된 동물과의 직접 접촉하거나, 매개 동물에 물리거나,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또는 오염된 입자를 흡입함으로서 감염되며, 피부나 점막을 통한 감염이 가장 흔한 감염 형태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야생토끼병은 증상이.. 2022. 8. 27.
소아 호흡 기도 내의 이물질, 질식, 흡인 소아의 호흡 기도 내의 이물 Foreign body in the respiratory tract 이물질이 흡기도내로 흡인되는 일은 대개 보호자의 감독 소홀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지만, 때로는 연장아가 동생의 입에 이물을 집어 넣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면 일반적으로는 기침이라는 방어기전에 의하여 기도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물이 배출되지 못하면 어떤 형태로든 기도 폐쇄가 일어나서 병태 생리학적으로 환기장애, 환기 불균형과 과팽창 또는 무기폐가 나타나게 됩니다. 진찰 소견 및 합병증의 정도는 유기물 혹은 무기물, 형태 등과 같은 이물질의 성질, 위치 및 폐쇄의 정도, 이물 흡인후 제거되기까지의 기간과 2차 감염의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2022. 8. 26.
소아 장중첩증, 장이 장속으로 말려들어갔어요. 소아 장중첩증 Intussusception 장중첩증이란 일반적으로 상부 장이 하부 장 속으로 망원경같이 말려들어가는 것을 뜻합니다. 장중첩증에서는 돌막창자(ileocecal)가 대장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이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95%) 장중첩증이 오게되면 장 운동과 일치하는 극심한 통증과 기계적 폐쇄 증상이 시작되고, 수 시간 내 장간막 혈류의 교액 현상으로 정맥혈 울혈 및 부종이 동반됩니다. 대부분의 장중첩증은 24시간 내에는 장꼬임이 발생하지 않으나 나중에는 장괴저 및 쇼크상태로 빠질 수 있습니다. 장중첩증은 3개월에서 6세 사이에 발생하는 장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60%가 1세 미만에서 발생하며, 80%가 2년 미만의 영유아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5~11개월 사이가 호발 연.. 2022. 8. 25.
소아 선천성 거대 결장증, 빈도, 시기별 증상 선천성 거대 결장증 (Congenital aganglionic megacolon, Hirschsprung disease) 선천성 거대 결장증이란 신경모세포가 대장 원위부로 이동하지 못하여 초래된, 신경절 세포의 결여로 인한 장 운동 질환입니다. 무신경절 부위에 정상적인 장 운동이 불가능하므로 그 부위에 장폐쇄가 발생하고 따라서 정상적인 상부의 장이 확장되게 됩니다.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빈도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빈도는 출생아 5천명당 1명이며, 남아와 여아의 비율은 4:1 정도입니다. 미숙아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신생아 하부 장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운 증후군(5~10%)에서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mith-Lemli-Opitz 증후군, Waardenburg 증후군.. 2022.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