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59

신생아의 진찰 (3) / 흉부, 폐, 심장, 복부 신생아 진찰 3편 1) 흉부 신생아에서는 방비대가 흔하며, 젖이 나오기도 합니다. 비대칭적, 홍반 경화나 압통이 있으면 유방농양을 의심해야 합니다. 가슴이 방패모양을 하고 있고 유두사이가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터너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2) 폐 신생아의 호흡하는 것을 관찰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호흡의 수와 율동의 변이는 신체적 활동, 각성 상태, 울음 등에 따라서 특징적이며 변화합니다.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호흡 수는 안정된 상태, 더 좋기는 잘 때 1분 동안의 호흡 수를 세야 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정상 만삭아의 호흡수는 30~40회/분입니다. 미숙아에서는 호흡수가 좀더 많고 더 자주 변화합니다. 규칙적으로 숨쉬는 동안 호흡수가 일정하게 60회/분 이상이라면 심장, 폐, 대사 .. 2022. 10. 21.
신생아의 진찰(2) /두개골, 얼굴의 진찰 신생아의 진찰의 특징 1) 두개골 신생아의 두개골은 변형될 수 있는데 특히 첫째 아기인 경우와 머리가 오랫동안 산도에 진입되었던 경우에 심할 수 있습니다. 두정골(parietal bone)은 후두골과 전두골에 중복되기 쉽습니다. 제왕절개로 태어나거나 둔위로 태어난 신생아의 머리는 특징적으로 둥그렇습니다. 봉합선의 조기 봉합(두개골 유합증: cranial synostosis)은 봉합선 위의 딱딱하고 움직이지 않는 능성과 비정상적인 모양의 두개골로 나타납니다. 정상적으로 앞숫구몽은 열려져 있으며 연하고 편평하게 만져집니다. 평균 지름은 2.0+1.0cm 입니다. 앞숫구멍이 팽출(bulging)되어 있을 때에는 두개 내압이 상승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시상 봉합(sagittal suture) 가까이 두정의 두.. 2022. 10. 21.
초기 신생아기 일어나는 변화는? / 신생아 진찰의 특징 초기 신생아기의 변화 아기가 태어나서 직후인 신생아기 초기에는 체중, 배뇨, 배변, 탯줄, 그리고 황달의 변화가 생리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하며, 또 부모에게도 잘 이해시켜주어야 합니다. 만삭아의 체중은 생후 2~4일을 지나는 동안 체중의 10% 이내에서 감소하게 됩니다. 미숙아는 더 오랫동안 체중감소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부당 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의 경우는 첫날부터 체중이 감소하지 않고 늘어나게 될수도 있습니다. 탯줄 혈관은 기능적으로는 출생 직후부터 막히지만 해부학적으로는 출생 후 10~20일간은 열려있기 때문에 감염균의 침입로가 될 위험이 있습니다. 탯줄은 감염 증상 없이 잘 말라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알코올 면봉으로 탯줄과 피.. 2022. 10. 21.
놓치기 쉬운 소아 불안 장애 소아 불안 장애 Anxiety disorder 불안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자신이위협을 받는다고 느낌으로써 야기되는 불쾌한 감정적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쾌한 감정적 반응이라고 하여 불안이 모두 병적인 것은 아닙니다. 유아기에 경험하는 분리 불안, 낯가림, 학령 전기의 동물이나 어둠에 대한 공포심, 중기 아동기에 관찰되는 동물이나 폭풍 등 자연재해에 대한 공포심, 청소년기에 수행 불안 또는 친구들 간에 댜기되는 대인 불안 등은 발달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야기될 수 있는 불안이며, 어떤 면에 있어서는 생존에 필수적인 불안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불안들이 상황이나 나이에 맞지 않게 자주, 그리고 심하게 일어나 일상 생활이나 발달에 지장을 초래할 때에는 비정상 내지 병적 불안이라 할 .. 2022.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