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59

소아 행동 문제, 엄마는 처음이라 당황스러요. 소아 행동 문제 2~4세경의 어린이는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는 자율성을 원하지만, 아직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결과 좌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좌절감과 분노를 표현하는 가장 흔한 형태로는 울고 소리지르기, 호흡과 정지 발작, 분노 발작, 사물이나 사람에 대한 공격적 행동 등이 있습니다. 1. 호흡 정지 발작 (Breath-holding spells) 호흡 정지 발작은 24개월 까지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소수의 아동들은 호흡 정지 기간이 길어서 의식을 잃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지만 경련 질환과는 다릅니다. 아동은 호흡 정지 발작으로 주위 어른들을 조종하려 하기도 하지만, 부모는 아동의 발작에 관심을 두기 보다는 오히려 아동의 불안이나 좌절감을 이해해주어야 합니다. 2.. 2022. 9. 1.
신생아 생리 (3) 소화기계 및 비뇨기계 신생아 생리 (3) 소화기계 및 비뇨기계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태아는 빠르면 태생 12주부터 양수를 삼킬 수 있지만 실제적인 흡철운동(nutritive sucking)은 태생 34주경 처음으로 발달합니다. 신생아의 Tongue-tie가 정상아에서 수유나 발성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개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습니다. 지도혀는 대개 정상적인 소견입니다. 이분 목젖(bifid uvula)은 정상적 소견이거나 점막하 연구개 파열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신생아는 해부학적으로는 장의 흡수 면적이 비교적 넓고 분비선도 발달되어 있어 소화, 흡수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장의 근육은 약하므로 장이 팽창하기 쉽습니다. 신생아기에 섭취한 음식물은 상부 위장관을 서서히 통과합니다. 위의 내용물은 .. 2022. 8. 31.
신생아 생리 (2)-혈액의 특징 및 호흡기계 신생아 생리 (2) 혈액상 (Blood picture) 신생아의 혈색소의 농도는 재태 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만삭아의 재대혈 혈색소치는 평균 16.5g/dL이며, 미숙아의 혈색소 수치는 만삭아에 비해 1~2g/dL 정도 낮습니다. 혈액량은 출생시 약 85mL/kg 이며, 생후 1개월이 지나면 약 75mL/kg으로 떨어집니다. Prothrombin time은 출생시는 정상이지만 생후 2~3일에는 연장되었다가 생후 6~7일에 다시 정상으로 회복됩니다. 혈액 응고 인자 중에서 factor II, VII, IX, XI, XII 농도는 소아나 성인에 비하여 매우 낮습니다. 모세혈관 벽은 출생시부터 5주까지는 외상에 상당히 저항성이 있으나 그 후부터 소년기에 이르기 까지는 별 변화가 없습니다. 말초 혈액의 순.. 2022. 8. 30.
레지오넬라증, 여름철 폐렴의 원인입니다. 레지오넬라증 Legionellosis 레지오넬라증은 두 가지 형태의 임상적 양상을 보입니다. 하나는 이른바 재향 군인병으로 알려진 폐렴의 형태로 진행되는, 잠복기가 길며 바이러스 폐렴과 유사한 경과를 취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폰티악 열(Pontiac fever)이라고 불리는, 폐렴을 동반하지 않고 마치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임상 경과를 취하는 형태입니다. 전자의 재향 군인병은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재향 군인회 모임에서 대유행하여 그러한 병명이 유래되었으며, 후자의 폰티악 열은 미국의 미시간주 폰티악시에서 유행하여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레지오넬라증의 원인 레지오넬라균은 작고 호기성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않으며 그 형태가 다양합니다. 그람 염색에서는 음성으로 약하게 염색되며, 오히려 Gimenez.. 2022.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