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59

소아 정신지체, 소아 정신지연, 치료가 가능할까요? 소아 정신지연이란? 정신지연이란 평균 이하의 지적 기능과 적응기능 장애가 있으며, 이러한 장애들이 18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을 지칭합니다.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APA)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DSM-IV, 1994년)에 의하면, 정신지연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능지수 70 이하의 평균 수준 이하의 지적 기능 (2) 의사소통, 자기돌봄, 가정생활, 사회성과 대인관계, 지역 사회 시설 활용, 자기 관리, 기능정 학업기술, 직업, 여가, 건강 및 안정 등의 항목에서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적응 장애 해당하는 경우 (3) 18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 미국 정신 지연협회(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 2022. 8. 2.
소아 간질 유사 질환, 간질은 아니에요, 7가지종류 소아기 간질 유사 질환이란? 영/유아기 및 소아기에 간질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질환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질환들은 대부분 의식의 변화, 강직 또는 간대성 움직임 그리고 청색증 같은 증상은 동반하므로 간질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이런 질환들을 간질로 잘못 진단하여 불필요한 항경련제 치료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실제로 항 경련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로 오인되어 간질 전문 병원으로 이송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1) 양성발작 현기(Benign paroxysmal vertigo)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며 만 3세 이후에는 드뭅니다. 조화운동불능과 동반되어 환자는 잘 넘어지며 걸으려 하지 않습니다. 눈떨림, 구역 또는 구토가 있을 수 있으나 의식은 정상입니다. 지속시간, 빈도 및 강도는 환.. 2022. 8. 1.
소아기 발작, 소아 열성경련, 119를 부르나요? 소아기 발작 발작(seizure) 또는 경련(convulsion)은 대뇌의 비정상적인 전기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돌발적이고, 일시적인 운동, 감각 또는 행동 변화 증상을 말합니다. 경련은 발작 중에 운동 증상이 동반될 때를 말합니다. 발작은 소아에서 흔한 증상으로, 소아의 10% 정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소아에서 발작은 발열, 감염증, 두부 외상, 저산소증, 중독증 또는 부정맥과 같은 신경계 외적인 신체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간혹 호흡-중지 발작(breath-holding spell),실신(syncope), 위식도 역류와 같은 돌발 행동들도 이 시기에 발작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일부에서는 정신적 원인에 의한 거짓 발작(pseudoseizure, psy.. 2022. 7. 28.
소아 중증 근무력증, 여자아이가 더 많아요. 소아 중증 근무력증 중증 근무력증이란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한 골격근의 신경근 접합부의 자극 전단 장애로 인하여 근육의 약화와 피로가 초래되는 질환입니다. 즉, 반복적인 운동으로 증상이 초래되어 대개 아침에는 증상이 경미하고 저녁에 심해지며 항콜린에스터라제 제 투여에 의해 호전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유병률은 인구 10만명당 5~10명 정도이고, 유년형의 경우 여자에서 2~6배 호발하며, 11~24%가 소아기나 장년기에 발병하게 됩니다. 1. 소아 중증 근무력증의 임상양상 소아기에 발생하는 중증 근무력증은 여러가지 양상이 있습니다. (1) 일과성 신생아 중증 근무력증(Transient neonatal myathenia gravis) 중증 근무력증 산모로부터 태반을 통하여 항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나 면.. 2022.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