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소아 두드러기, 소아 두드러기의 원인, 치료

by 아이넷맘 2022. 6. 26.
반응형

두손을 모은채 옆으로 잠이든 아기, 소아 두드러기

소아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대표적인 피부 알레르기로서 인구의 20%정도에서 평생 적어도 한번이상 경험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두드러기와 함께 혈관부종도 기본적으로 같은 기전에 의해 증상이 나타나지만 병변이 생기는 조직에 따라 증상이 달리 나타나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드러기는 심한 가려움을 동반하면서 붉게 부어오르는 얼룩반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계가 뚜렷한 팽진과 누르면 사라지는 발진이 혈관 투과성 증가에 의한 부종과 혈관 확장에 의한 발적을 시사합니다. 병변은 주로 진피 상층부에 존재합니다. 혈관부종의 병변은 진피 심층부와 피하 조직에 위치합니다.

1. 소아 두드러기의 급성과 만성의 구분

 급성과 만성은 임상적으로 증상의 발현 기간에 따라 분류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6주를 경계로 급성과 만성을 구분하고 있지만 연구자에 따라 2주 또는 4주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2. 소아 두드러기의 원인과 임상 형태

1) 식품과 약물 두드러기

 전형적인 즉시반응으로 일어나는 급성 두드러기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2) 흡입 또는 접촉 알레르겐

흡입 알레르겐으로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드물게 화분이 날리는 계절에 화분 알레르기 환자가 운동을 하면 두드러기 또는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밖에도 드물지만 식품도 공기를 통해 또는 직접 피부에 접촉하여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3) 물리적 두드러기의 종류

온도의 변화 또는 긁거나 진동을 주거나 압력을 가하는 등 물리적 자극에 의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물리적 두드러기라고 합니다. 대부분 급성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압력에 의한 두드러기는 4~6시간 뒤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1) 한랭 두드러기

 차가운곳에 노출된 부위가 가려워지거나 발적과 두드러기 또는 혈관부종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영이나 찬물 목욕시에는 혈관작용 물질이 많이 분비되어 저혈압이 심한 경우에는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얼음덩어리를 10~15분간 피부에 접촉하여 증상의 발현을 관찰하는 검사로 진단합니다. 한랭 단백과의 연관성이 증명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단백이 증명되지 않는 경우를 특발 한랭 두드러기라고 합니다. 

(2) 콜린성 두드러기

 근육과 땀샘에 분포하고 있는 콜린성 신경섬유에 의한 증상입니다. 운동을 하거나 더운 물 목욕, 땀을 냈을때 생기는 두드러기로 진정되면 1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집니다. 심리적인 자극으로도 증상이 발현됩니다. 

(3)피부그림증

 피부 묘기증이라고도 합니다. 날카로운 물건으로 피부를 자극하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자극에 대한 이차적 반응으로 혈관수축이 일어나고 가려움, 홍반, 선형 두드러기가 생깁니다. 독자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다른 물리적 알레르기와 함께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4) 압력 두드러기

 비균질 형태로 나타나 정상적인 피부를 가진 환자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이는 의류, 오래 걷거나 앉아있었을 때 압박 부위에 혈관부종 또는 두드러기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5) 일광 두드러기

 드문 질환으로 태양에 노출되어 1~3분에 증상이 나타나고 노출을 피한 뒤 1~3시간에 걸쳐 사라집니다. 전신 노출시에는 저혈압과 천명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3. 소아 두드러기의 치료 

1) 회피요법 

  급성 두드러기는 비교적 많은 경우에서 원인 특이식품과 약물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이 들과의 접촉을 피하면 증상은 자연히 사라집니다. 그러나 얼마나 오랜기간 회피해야할지에 대해서는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언급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유와 달걀 등의 동물성 식품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다시 먹을수 있어 2~3년간의 회피 요법이 요구되지만 땅콩과 같은 식물성 식품은 더 오랜기간에 걸쳐 증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밖에 물리적 두드러기에서 일광, 냉기 또는 냉수, 압력과 온수 등을 피해야 하고 만성 두드러기에서는 알코올, 살리실산염과 이 밖의 증상 악화 요인을 피하도록 해야합니다. 

 

2) 약물요법 

 아드레날린 약물,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고 이들은 심한 두드러기, 급성증상 또는 만성 증상에 따라 효과적으로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이 밖에 약물에 따라 특히 잘 반응하는 약물이 있어 두드러기의 종류에 따라서도 약물을 달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아드레날린 약물 : 심한 급성 두드러기나 기도 폐쇄를 동반한 혈관부종 환자에서 빠른 호전을 위해 사용합니다.

에피네프린(1:1000) 0.01mL/kg(최대량 0.3mL)을 경피하 주사한 지 20~30분후 가라앉지 않으면 재차 투여합니다.

에페드린 설페이트(3mg/kg/일)- 항히스타민제 만으로 조절되지 않는 혈관 부종의 치료에 항히스타민제와 동시 투여할 때 도움이 됩니다. 

(2) 항히스타민제 :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두드러기 치료약제로서 제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hydroxyzine과 dephenhydramine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졸음 등의 부작용 유무에 따라 1세대와 제 2세대 항히스타민제로 개발되어 있습니다. 

(3) 스테로이드 : 두드러기도 염증반응으로 비만세포의 탈과립 현상과 이로인한 증상이 지속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프레드니솔론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아침에 한번 가능한 격일로 복용하도록 합니다. 적어도 5~7일 사용한 후에는 서서히 용량을 줄여가면서 중단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