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꽤나 흔한 질환입니다. 주변에 자궁근종 하나정도는 가지고 있다는 분들 자주 뵙게 됩니다. 저만 해도 10cm가 넘는 근종때문에 임신이 힘들었고 수술로 자궁근종을 20개 가까이 제거했습니다. 그리고 2개월뒤 바로 임신이 되었더랬죠.
그렇다면 자궁근종은 꼭 수술을 해야할까요?
자궁근종은 사실 있다고 해서 생명을 위협하는 아이가 아니기 때문에 평생 데리고 살아도 문제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술이라는 결정을 하기 전에 생각해봐야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수술을 하는 것이 앞으로 내 미래에 더 유리할 것이다 라고 판단되면 수술을 하시는 겁니다. 그 결정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나는 앞으로 임신을 할 계획 혹은 가능성이 있다.
2. 나는 자궁근종때문에 증상이 있다.
3. 나의 자궁근종이 최근에 갑자기 크기가 커졌다.
4. 초음파나 MRI 등의 검사에서 자궁근종이 아닌 다른종류의 혹일 가능성이 있다고 들었다.
위의 한가지에 해당사항이 있다면 수술을 고민해보셔야 합니다. 한가지씩 짚어가며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1. 나는 앞으로 임신을 할 가능성이 있다.
미혼이던 기혼이던 내 자궁이 아직 임신이라는 큰 거사를 치를 가능성이 있다면 자궁근종은 해결해야할 문제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이 있어도 임신은 잘 될수 있고 아무 문제 없을수 있습니다.
다만 근종의 크기가 크거나, 갯수가 너무 많거나, 자궁내막을 침범하고 있는 경우에는 임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자궁은 임신기간이 진행될수록 마구마구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풍선이 부푸는 것처럼 말이죠. 워낙 긴 기간동안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자궁이 뻥! 터지는 경우는 별로 없답니다.
하지만 자궁근종이 크게 자리잡고 있다면 임신을 유지하는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초기 유산, 자궁근종의 변성으로인해서 복부통증, 태반조기탈락 등등 말이죠.
또 자궁근종이 내막을 침범하고있거나 가까운 위치에 있다면 착상이 잘 안될수 있습니다. 난임이 생기는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수술을 하는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나는 자궁근종 때문에 증상이 있다.
자궁근종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만약 자궁근종때문에 증상이 있다면?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적극적인 치료방법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궁근종으로 인해 생기는 증상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자궁근종이 크기가 너무 커서 방광이나 직장을 누르는 바람에 평소 소변을 너무 자주 보러가야하거나 변비가 생긴 상태인 경우입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은 흔하지 않은데다가 이미 너무 익숙해져 버려서 불편함을 모르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자궁근종으로 생기는 증상중 중요한것은 질출혈입니다. 내막을 건드리는 위치에 있는 자궁근종은 자궁수축현상을 방해해서 생리기간때 대량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뿐 아니라 생리기간이 아닐때에도 귀찮은 질출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생리의 양이 많은 분들은 단지 난 한달에 한번 생리를 할뿐인데 '수혈'을 해야할 만큼의 출혈을 겪는 분들이 계십니다. 너무 무섭죠?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함은 물론이고 빈혈이 너무 심해져 다른 장기들이 건강한 기능이 어려워질 수도 있어요.
이런 정도의 출혈은 사실 근종보다는 '자궁선근증'이 있는 분들에서 자주 만나는 증상이긴 하지만 자궁근종도 이러한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수술을 해야합니다.
3. 나의 자궁근종이 최근에 갑자기 크기가 커졌다.
내가 자궁근종이 있는건 알고있었는데 검진을 했더니 짧은 기간사이에 크기가 갑자기 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이런 경우 때때로 검사한 초음파의 해상도에 따라서, 근종 크기를 측정하는 검사자의 측정편차에 의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시말해 내 근종의 크기는 별로 변화가 없는데 측정을 다르게 해서 크기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건 별로 문제되지 않겠죠?
하지만 정말 근종이 빠른 시일내에 커졌다면? 근종의 성격이 착한아이가 아닌 나쁜아이였던건 아닌지 알아내야합니다. 근종의 성격을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가장 정확한건 조직검사입니다. 그러므로 수술로 제거한 후에 조직검사로 어떤 성격의 근종인지 알아봐야겠습니다.
4. 초음파나 MRI 등의 검사에서 자궁근종이 아닌 다른종류의 혹일 가능성이 있다고 들었다.
3번의 상황과 비슷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나 MRI에서는 근종의 단면은 전형적인 모습이 있습니다. 검사 영상에서 보여주는 자궁근종은 음영과 음영의 균일함 정도등등 검사자의 판단으로 전형적인 '근종'의 모습인 경우는 예상 진단명을 '자궁근종'으로 판독을 내주게 됩니다. 하지만 가끔 근종의 일부분에서 애매한 소견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상학적인 검사의 결과는 사실은 '추측성' 진단명일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명을 얻기위해서는 '조직학적' 결과를 알아야합니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수술적 제거 및 조직학적 진단명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자궁근종을 수술해야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자궁근종은 여러모로 환자의 상황을 고려해서 치료의 방법을 결정해야하는 질환입니다. 크게 나쁜 녀석은 아니지만 때에 따라서는 골치아픈 녀석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꼭 의사와 상담할때에는 여러가지 상황을 같이 고려하셔서 내 몸을 위해서 가장 좋은 선택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이글을 작성하는 이유는 모든 근종이 수술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어서입니다.
꼭 수술해야하는 경우인지 잘 따져보시고 결정하세요. 아니라면 데리고 사셔도 됩니다. 착한아이니까요.
. 함께 읽으면 좋은글
자궁근종 쉽게 이해하기 (증상 및 특징, 위험인자)
자궁근종은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저만 해도 저희 어머니, 저희 언니, 그리고 저도 자궁근종이 있습니다. 가끔 증상이 생
fraujanglee.com
자궁근종과 임신
자궁근종이 임신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임신을 준비하는 분들은 모두 자궁근종 수술을 해야만 할까요? 근종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는 아이이긴 하지만 임신기간동안의 자궁근종은 다
fraujanglee.com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근종과 임신 (0) | 2023.02.15 |
---|---|
자궁근종 쉽게 이해하기 (증상 및 특징, 위험인자) (0) | 2023.02.13 |
자궁내막증 쉽게 알아보기 (증상 및 잘생기는 부위) (0) | 2023.02.05 |
한파가 오면 돌연사 급증! 의사가 조언하는 한파, 혹한기 대처법! 123 (0) | 2023.01.27 |
수족냉증 제대로 알자! 수족냉증 극복법 총정리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