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

저체중 출생아의 관리 한방에 정리 이번 글은 저체중 출생아의 관리에 대해 작성해보았습니다. 저도 저희 아이중 한 아이는 저체중 출생아로 낳았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이 정보를 찾아보시는 여러분들도 걱정거리가 많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글에서는 저체중 출생아가 초기에 어떻게 관리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면 신생아실, 혹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아기들이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추어 관리해주는지에 대해서 이해하실수 있을겁니다. 저체중 출생아는 출생시 체중이 2,500g 미만일 때 이를 넓은 의미로 저체중 출생아로 부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체중이 1,500g 미만인 신생아를 극소 저체중 출생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 : VLBW)라고 하며, 체중이 1,000g 미만인 신생아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2022. 11. 2.
미숙아에 대한 총정리 / 불리한점 미숙아의 불리한 점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이번 글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숙아의 체온조절 신생아도 성인과 같이 몸에서 만들어 내는 열과 주위에 빼앗기는 열, 그리고 신진 대사 중 소모하는 열 등의 균형을 섬세하게 맞추어 체온을 유지하게 됩니다. 미숙아는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이 만삭아보다도 덜 발달되어 있으므로 저체온이 쉽게 올 수 있습니다. 저체온이 오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대적으로 큰 체표면적 (2) 갈색 지방 부족으로 인한 열 생산 부족 (3) 피하 지방 부족으로 인한 열복사의 증가 (4) 불충분한 영양공급으로 인한 영양부족 (5) 폐질환에 의한 산소 공급 부족 또 발한(sweating)기전이 미숙하기 때문에 열을 잘 발산할 수 없어 환경 온도가 너무 높으면 고체온이 올 .. 2022. 11. 1.
유전질환 / 유전형식에 대해 알아보아요. 단일 돌연변이 유전자에 의한 질환 상염색체 우성 및 열성, X 연관 우성과 열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변이 유전자가 이형 접합체 상태에서 증상을 유발하면 우성 형질을 나타내고, 동형 접합체 상태에서 증상을 유발하면 열성 형질을 나타냅니다. 1.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 대표적인 질환으로 연골 무형성증, Marfan 증후군, Crouzon(두개골 조기 유합증) 등의 골질환과 결절 경화증, 신경섬유종증, 헌팅턴병, 가족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이 있습니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 가계의 특징 1. 부모 중 한명이 환자일 때 자손에게 전달됩니다. 2. 세대를 건너뛰지 않고 모든 세대에서 나타납니다. 3. 남, 녀 모두에게서 나타납니다. 4. 환자의 자손에게 전파될 확률은 50%이다. 즉, 환자 형제의 발병.. 2022. 11. 1.
신생아의 진찰 (3) / 흉부, 폐, 심장, 복부 신생아 진찰 3편 1) 흉부 신생아에서는 방비대가 흔하며, 젖이 나오기도 합니다. 비대칭적, 홍반 경화나 압통이 있으면 유방농양을 의심해야 합니다. 가슴이 방패모양을 하고 있고 유두사이가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터너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2) 폐 신생아의 호흡하는 것을 관찰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호흡의 수와 율동의 변이는 신체적 활동, 각성 상태, 울음 등에 따라서 특징적이며 변화합니다.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호흡 수는 안정된 상태, 더 좋기는 잘 때 1분 동안의 호흡 수를 세야 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정상 만삭아의 호흡수는 30~40회/분입니다. 미숙아에서는 호흡수가 좀더 많고 더 자주 변화합니다. 규칙적으로 숨쉬는 동안 호흡수가 일정하게 60회/분 이상이라면 심장, 폐, 대사 .. 2022. 10. 21.